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||||
4 | 5 | 6 | 7 | 8 | 9 | 10 |
11 | 12 | 13 | 14 | 15 | 16 | 17 |
18 | 19 | 20 | 21 | 22 | 23 | 24 |
25 | 26 | 27 | 28 | 29 | 30 | 31 |
- computer
- 아이폰 IOS7
- 티스토리
- WWDC
- ios7 beta4
- 아이폰5
- 베타5
- ios
- 컴퓨터
- iOS7
- ios7 gm
- 티스토리 초대장
- ios7 골드마스터
- ios7 beta3 버그
- 블로그
- beta5
- iphone5
- ios 7 beta 5
- iphone
- ios7 beta
- ios7 배포
- TISTORY
- ios7 베타
- 애플
- 아이폰
- ios8
- ios7 beta3
- iOS7 beta2
- ios9
- ios8 beta
- Today
- Total
wookss blog
네트워크 명령어 본문
|
네트워크 명령어 |
ping |
Packet INternet Groper의 약자로 ping은 ICMP 메시지를 이용해서 네트워크 계층까지 연결성을 테스트 하는 명령어이다. ICMP 메시지 중 Echo Request와 Reply 메시지를 사용한다. 대부분의 네트워크를 구축해서 가장 먼저 해보는 테스트가 바로 ping 명령어이다. |
<옵션> ping [Domain or IP] -t : 사용자가 멈추라고 할 때까지 계속 ICMP 메시지를 전송. ping [Domain or IP] -n count : 사용자가 count에 지정한 횟수만큼만 ICMNP 메시지를 전송. ping [Domain or IP] -l count : 사용자가 count에 지정한 만큼의 크기로 ICMP 메시지를 전송. ping [Domain or IP] -r count : 사용자가 count에 지정한 수만큼 라우팅 경로를 출력. ping [Domain or IP] -s count : 사용자가 count에 지정한 홉만큼 타임스탬프를 출력해준다. ex) ping 123.456.78.9 –l 500 –n 3 –r 3 설명 : 123.456.78.9까지 패킷의 크기를 500byte로 늘려서 3회 전송하고 전송하는 경로 중 3곳을 출력하도록 함. | |
ICMP(Internet Control Message Protocol : 인터넷 제어 메시지 프로토콜) TCP/IP 기반의 인터넷 통신 서비스에서 인터넷 프로토콜(IP)과 조합하여 통신 중에 발생하는 오류의 처리와 전송 경로의 변경등을 위한 제어 메시지를 취급하는 무연결 전송(Connectionless Transmission)용 프로토콜. OSI 기본 참조 모델의 망 계층에 해당한다. |
netstat |
netstat는 라우팅 테이블을 확인하거나 프로토콜 서비스된 통계, 열려져 있는 포트 및 서비스 중인 프로세스들의 상태 정보와 네트워크 연결 상태를 알아보기 위해 사용한다. |
<옵션> netstat –a : 모든 여결 및 수신 대기 포트를 표시. netstat –c : 현재 실행 명령을 매초마다 실행 netstat –l : 리슨하고있는 포트를 보여줌. netstat –t : tcp로 연결된 포트를 보여줌. netstat –u : udp로 연결된 포트를 보여줌. netstat –n : 주소나 포트 형식을 숫자로 표현. netstat –p [프로토콜] : 해당 프로세스를 사용하고 있는 프로그램이름을 보여줌. netstat –r : 라우팅 테이블을 보여줌. | |
라우팅 테이블 라우터나 기타 다른 인터네트워킹 장치에 저장되어있는 데이터베이스로서 네트워크 사의 특정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계속적으로 저장하기 위해 사용됨. |
arp |
Address Resolution Protocol의 약자로 상대방의 IP주소를 이용하여 IP주소가 가지고 있는 PC의 MAC 주소를 알아오는 주소변환 프로토콜이다. |
arp –a : 모든 arp 테이블을 확인 하는 명령어. arp –s [IP주소] [MAC주소] : arp 테이블에 IP주소에 대한 MAC 주소를 수동으로 입력해 주는 명령어. arp -d : 생성되어 있는 모든 arp테이블을 지우는 명령어. |
tracert |
알고자 하는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출력해 주는 명령어 이다. 특정 사이트에 접속이 되지 않을 경우 어떤 회선에서 병목이 발생했는지 알아보는데 아주 유용한 명령어이다. |
tracert [Domain or IP]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출력해 준다. tracert [Domain or IP] -d 지나가는 경로에 대해서 이름을 해석하지 않고 IP 주소만 곧바로 출력. tracert [Domain or IP] -h count count에 지정된 횟수까지만 경로를 출력. |
ipconifg |
자신의 컴퓨터에 설정된 IP의 주소를 볼 수 있는 명령어. |
ipconfig : TCP/IP의 간단한 정보 확인. ipconfig /all : TCP/IP의 자세한 정보 확인. ipconfig /displaydns : DNS Cache 출력. ipconfig /flushdns : DNS Cache 삭제. ipconfig /registerdns : 강제로 동적업데이트(DNS), 임대기간 갱신(DHCP). ipconfig /release : DHCP Server에서 할당받아온 IP 제거. ipconfig /renew : DHCP Server에서 새로운 IP를 달라고 요청. |
nslookup |
인터넷 서버 관리자나 사용자가 호스트 이름을 입력하면 그 IP주소를 알려주는 프로그램. 그 반대의 경우에도 가능하다. nslookup [주소]를 하게 될 경우 그 주소의 해당 IP주소를 알 수 있다. |
'Study > 컴퓨터공학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정보기술과 응용 - 컴퓨터와 하드웨어 (0) | 2013.10.24 |
---|---|
웹 프로그래밍 공부, 개발 프로그램 추천! Aptana (1) | 2013.10.13 |
logisim프로그램(디지털 공학, 논리 회로) (0) | 2013.06.01 |
유닉스 vi편집기 사용관련 용어 (0) | 2013.05.15 |
윈도우API 프로그래밍 [메모장만들기!] (0) | 2013.05.14 |